AUTOCAD-판금 전개도 90도, 연신율

연신율은 판금 전개도 작업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판금이 절곡되거나 가공될 때 재료의 길이가 늘어나는 비율을 나타내며, 이를 정확하게 계산하지 않으면 제품의 치수 오류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신율을 적절히 적용하여 전개도를 작성하는 과정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판금 전개도 작업 시 연신율 적용 방법

  1. 연신율 계산: 주어진 판금의 두께(T)에 따라 연신율을 계산합니다. 간단한 공식 T / 0.6을 사용하여 연신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께가 3.2mm인 경우, 연신율은 약 5.33이 됩니다. 연신율은 소수점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습니다.
  2. 기준점 설정: 전개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복잡한 도면에서는 기준점을 정하지 않으면 작업 중 헷갈릴 수 있습니다. 기준점은 움직이지 않는 지점으로, 전개도에서의 안정적인 출발점 역할을 합니다.
  3. 연신율 적용: 절곡될 부분에 대한 연신율의 반 값을 옵셋으로 마킹합니다. 이는 절곡이나 가공 후 판금이 늘어나는 길이를 고려하는 과정입니다. 미리 마킹선을 그려두면, 후에 전개도를 수정할 때 편리합니다.
  4. 전개도 작성: 기준점에 대한 이동할 면을 붙이고, 연신율에 따라 이동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 없는 선들을 정리하여, 전개도를 명확하게 만듭니다.
  5. 검증: 전개도 작업을 마친 후, 연신율의 반값이 정확히 적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최종 제품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입니다.

S1. 50x50x3.2t L=40 인 재료

image 102

S2. 기준면 설정

image 104

S3. 기준면이 아닌 면을 그리고 접합부에 연신율/2 만큼 옵셋한 선을 그림

image 105

S4. 기준면은 고정한 채로 왼쪽의 면의 끝을 기준면의 끝과 붙인다.

image 106

S5. 연신율 만큼 왼쪽 면을 이동시키면 완성

image 107

  • 연신율은 판금의 물성 및 가공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정 재료나 가공 조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복잡한 도면이나 여러 절곡이 포함된 도면에서는 연신율을 적용하는 과정이 더 중요하며, 정밀한 계산과 검증이 요구됩니다.

판금 전개도 작업에서 연신율의 정확한 적용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론적인 지식과 함께 실제 작업 경험을 통해 연신율을 보다 정확하게 적용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