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54) – 정압 측정

▶ 유체역학을 다루는 포스팅

유체역학

3. 정압 측정

3.1) 정압 측정의 정의

정압 측정은 유체 내에서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유체역학에서 중요한 변수로, 유체의 흐름 상태 및 에너지 변환을 이해하는 데 필요합니다.

3.1.1) 정압 측정 방법

  • 압력계: 유체 내부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합니다.
  • 마노미터: 유체와 차단된 공간에 들어 있는 다른 유체 간의 압력 차이를 측정합니다.
  • 디지털 압력 센서: 전기적 신호 변화를 통해 압력을 측정합니다.

3.2) 정압 측정의 중요성

  • 정압 측정은 유체 시스템의 설계, 안전, 효율성 평가에 필수적입니다.
  • 유체의 흐름 및 에너지 변환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제 문제 및 풀이

예제 1

문제: U자형 마노미터에서 한쪽은 공기로, 다른 한쪽은 물로 채워져 있습니다. 물의 수위가 공기 쪽보다 0.15m 높을 때, 공기의 압력을 계산하시오. 물의 밀도는 1000 kg/m³입니다.

풀이:

\( P_{\text{air}} = \rho g h \)

\( P_{\text{air}} = 1000 \times 9.81 \times 0.15 \)

\( P_{\text{air}} = 1471.5 \, \text{Pa} \)

따라서 공기의 압력은 1471.5 Pa입니다.

예제 2

문제: 디지털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폐쇄된 탱크 내부의 압력을 측정했을 때, 2.5 bar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을 Pascal로 변환하시오.

풀이:

\( P = 2.5 \times 10^5 \, \text{Pa} \)

1 bar는 \( 10^{5} \) Pa와 같으므로, 탱크 내부의 압력은 \( 2.5 \times 10^{5} Pa \)입니다.


다른 기계 가공법 링크

유체역학 (42) – 양력(Lift)

유체역학 (43) – 동력 (Thrust)

유체역학 (44) – 경계층 두께 (Boundary layer thickness)

유체역학 (45) – 경계층의 박리 (Boundary layer separation)

유체역학 (46) – 스토크스 법칙 (Stoke’s Law)

유체역학 (47) – 압축성 유체의 흐름

유체역학 (48) – 음속과 마하수 (Speed of Sound and Mach Number)

유체역학 (49) – 축소, 확대 노즐에서의 흐름 (Flow in Converging and Diverging Nozzles)

유체역학 (50) – 수격 작용 (Water Hammer)

유체역학 (51) – 충격파 (Shock Waves)

유체역학 (52) – 밀도 및 비중의 측정

유체역학 (53) – 점도의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