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기기(32) – 관이음

▶유압기기에 대해 다루는 포스팅

유압 시스템 내에서 관이음은 파이프, 호스, 그리고 다른 유압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올바른 관이음의 선택과 설치는 시스템의 효율성, 안전성, 그리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에는 구비조건과 나사이음의 추가 사항을 포함하여 관이음의 종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포함됩니다.

3. 관이음

구비조건

  • 압력 등급: 시스템의 최대 작동 압력에 적합해야 합니다.
  • 유체 호환성: 유압 오일과의 화학적 호환성을 갖춰야 합니다.
  • 온도 범위: 작동 환경의 온도 조건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 재질: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종류

  • 나사이음
    • 테이퍼나사: PT, NPT, NPTF 등이 있으며, 나사 자체의 테이퍼가 밀봉 기능을 제공합니다.
      • 나사의 직경이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가면서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나사 자체의 테이퍼(경사진 면)가 밀봉 효과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밀봉 재료 없이도 누수 방지에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 PT (Pipe Taper): 일반적으로 물 파이프에 사용되며,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NPT (National Pipe Taper): 미국 표준의 테이퍼 나사로, 가스와 액체를 위한 파이프 연결에 널리 사용됩니다.
        • NPTF (National Pipe Taper Fuel): NPT보다 더 엄격한 누수 방지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연료 및 유체 시스템에서 선호됩니다.
    • 평행나사: UNF, 워드워스계, 미터계 등이 있으며, 추가적인 밀봉 재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나사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외부나 내부 나사에 추가적인 밀봉 재료(예: O-링)가 필요합니다.
        • UNF (Unified National Fine): 미국 표준의 세 나사로, 주로 고강도의 고정 결합에 사용됩니다.
        • 워드워스계: 영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나사 규격으로, 특히 고전적인 기계류에 사용됩니다.
        • 미터계: 국제 표준에 따른 나사 규격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평행 나사 규격입니다.
image 194
  • 플랜지 이음
    • 플랜지 이음은 두 파이프 끝을 플랜지로 연결하고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고압 및 대구경 파이프 연결에 주로 사용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적용 분야: 대규모 유압 시스템, 고압 시스템, 산업용 파이프라인.
image 195
  • 플레어 이음
    • 플레어 이음은 파이프 끝을 플레어(확장)하여 피팅에 맞추고, 너트로 고정하여 밀봉하는 방식입니다. 높은 압력과 진동이 있는 시스템에 적합하며 우수한 밀봉 능력을 제공합니다.
    • 적용 분야: 고압 유압 시스템,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항공 우주 산업.
image 196
  • 플레어리스 이음
    • 플레어리스 이음은 파이프 끝을 확장하지 않고, 특수한 피팅을 사용하여 파이프를 압착하여 연결합니다.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며, 중압력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 군사 및 항공 우주 장비, 중압 유압 시스템.
image 197
  • 용접형 이음
    • 용접형 이음은 파이프나 피팅을 직접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매우 높은 압력과 극한의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매우 견고한 연결을 제공합니다.
    • 고압력 파이프라인, 화학 공장, 석유 및 가스 산업.
image 198
  • 스위블 이음
    • 스위블 이음은 한쪽 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피팅을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이는 호스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설치의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이동식 장비, 회전하는 부품이 있는 시스템, 유연한 호스 연결이 필요한 응용 분야.
image 199

관이음의 적절한 선택과 설치는 유압 시스템의 누수 방지, 안정적인 작동, 그리고 장기적인 내구성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나사이음의 경우, 테이퍼나사와 평행나사 중에서 시스템의 특성과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추가적인 밀봉 재료의 사용 여부도 고려해야 합니다.


공유압 다른 글

유압기기(1) – 유압기기의 원리

유압기기(2) – 유압기기의 장점과 단점

유압기기(3) – 유압기기의 분류

유압기기(4) – 유압기기의 4대 요소

유압기기(5) – 작동유의 구비조건

유압기기(6) – 작동유의 일반사항

유압기기(7) – 작동유의 온도와 점도와의 관계

유압기기(8) – 작동유의 첨가제

유압기기(9) – 유압펌프의 정의

유압기기(10) – 기어펌프의 특징

유압기기(11) – 베인펌프의 특징

유압기기(12) – 플런저 펌프(회전 피스톤 펌프)의 특징

유압기기(12) – 나사펌프의 특징

유압기기(13) – 공동현상 (Cavitation)

유압기기(14) – 펌프의 동력

유압기기(15) – 펌프의 각종 효율

유압기기(16) – 동력과 효율의 관계

유압기기(17) – 제어밸브의 개요

유압기기(18) – 유압 제어 밸브의 종류

유압기기(19) – 유량제어밸브

유압기기(20) – 방향제어밸브

유압기기(21) – 서보밸브

유압기기(22) – 액츄에이터의 개요

유압기기(23) – 유압실린더

유압기기(24) – 유압모터

유압기기(25) – 유압요동모터

유압기기(26) – 어큐뮬레이터의 개요

유압기기(27) – 어큐뮬레이터의 종류

유압기기(28) – 어큐뮬레이터의 용도

유압기기(29) – 어큐뮬레이터의 크기 선정 

유압기기(30) – 유압회로도의 개요

유압기기(31) – 유압회로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