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요소 (87) –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사용 방법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사용 방법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란?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는 부시의 외경에 플랜지가 있는 타입입니다. 플랜지는 회전 운동과 축 방향을 동시에 구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플랜지에는 장착 홀이 뚫려 있는 타입과 뚫려 있지 않은 타입(플랜지 부속)이 있습니다. 플랜지부는 원형이나 각형 등의 형상을 가지며, 장착 홀은 일반적으로 카운터보어 홀로 되어 있어 나사 머리 부분을 숨길 수 있는 구조입니다. 무급유 부시와 상대재가 나사로 고정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높은 강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장착 홀이 없는 타입은 압입 등을 통해 하우징에 내장합니다.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의 장점·단점

장점

  • 장착 용이성: 플랜지에 장착 홀이 있는 타입은 설치가 수월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간단한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 높은 강성: 플랜지로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부시의 강성이 높아집니다.
  • 다양한 형상: 플랜지부는 원형이나 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합니다.

단점

  • 설계 제한: 장착 사이즈가 정해져 있어 이에 맞는 하우징 유닛이나 고정판을 별도로 제작해야 합니다. 이는 설계 자유도를 제한하는 요소가 됩니다.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를 사용한 조립 사례

사례 1: 고정판과 무급유 부시의 단단한 고정

그림1의 사례에서는 고정판과 무급유 부시를 단단히 고정하고 이동판과 축에 틈새를 만들어 움직이도록 장착합니다.

g0070 01a
  • 고정 방법: 무급유 부시와 고정판을 무급유 부시의 내경으로 위치 결정하고, 무급유 부시 고정 나사로 고정합니다. 하우징과 축을 고정 나사로 고정하고, 이동판을 두 부품 사이에 배치하여 축과 하우징을 일체화한 부품의 축 부분을 무급유 부시 베어링 홀에 넣습니다. 이동판과 축의 틈새를 조정하여 이동판이 원활하게 움직이는 위치에 하우징 고정 나사를 고정합니다.

사례 2: 무급유 부시와 고정판의 틈새 고정

그림2의 사례에서는 무급유 부시와 고정판에 틈새를 만들어 움직이도록 장착합니다.

g0070 02a
  • 고정 방법: 이동판과 축을 고정 나사로 단단히 고정합니다. 무급유 부시를 고정판에 끼우고 상부에서 축과 이동판이 일체화된 부품을 삽입합니다. 고정판과 무급유 부시의 틈새를 조정하여 이동판이 원활하게 움직이는 위치에 무급유 부시를 나사로 고정합니다.

사용 상의 주의점

  • 축심 맞춤: 어떤 경우에도 이동판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축심을 맞춰 틈새를 조정해야 합니다.
  • 정밀도 확보: 무급유 부시와 축의 고정판 및 이동판에 대한 직각도는 부품 정밀도와 조립 정밀도로 확보해야 합니다.

결론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는 다양한 고정 방법과 구조를 통해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특히 플랜지를 통해 축 방향과 회전 운동을 동시에 구속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설계와 제작 과정에서의 정밀한 조정이 필요하지만,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은 고정 방법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 미스미


기계요소 다른 글

기계요소 – 스프링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 나사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 동력전달요소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66) – 무급유 부시의 기초 이해: 개념과 역사

기계요소 (67) – 직동 기구 부품의 차이와 무급유 부시의 역할

기계요소 (68) – 무급유 부시의 사용 분야와 사용 기기

기계요소 (69) – 무급유 부시 하우징의 구조와 메인터넌스

기계요소 (70) – 무급유 부시의 트러블 사례

기계요소 (71) – 무급유 부시의 유지보수

기계요소 (72) – 무급유 부시의 조립 방법 및 모멘트 하중 대응 방안

기계요소 (73) – 무급유 부시의 틈새 실현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4) – 무급유 부시와 축의 구조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5) – 무급유 부시를 사용한 기구의 구조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6) – 무급유 부시의 사용 수명과 마모 예측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7) – 무급유 부시의 효과적인 활용법 (무급유 부시 사용 예)

기계요소 (78) – 무급유 부시의 사용 기기 (무급유 부시 사용 예)

기계요소 (79) – 무급유 부시의 선정 방법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80) – 무급유 부시와 축 사이의 최적 틈새 유지 방법

기계요소 (81) – 윤활 구조 (무급유 부시의 종류)

기계요소 (82) – 금속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장점과 단점

기계요소 (83) – 복층계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 마찰 저감 방법

기계요소 (84) – 수지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선택 방법

기계요소 (85) – 스트레이트 타입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고정 방법

기계요소 (86) – 플랜지가 있는 타입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고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