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요소 (86) – 플랜지가 있는 타입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고정 방법

플랜지가 있는 타입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고정 방법

플랜지가 있는 타입 무급유 부시란?

플랜지가 있는 타입은 스트레이트 타입과 같이 모든 무급유 부시에 적용되는 범용적인 제품입니다. 이 타입은 플랜지를 통해 회전 운동과 축 방향을 동시에 구속하는 제품이 제공됩니다. 플랜지 타입의 고정 방법은 그림1과 같습니다.

g0069 01

플랜지 타입의 고정 방법

플랜지를 통해 회전 운동과 축 방향을 구속하는 구조는 축 방향 구속을 위해 회전축에 단을 가공하여 단면을 플랜지에 닿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 플랜지를 축 좌우에 배치하면 축 양방향 구속이 가능해집니다. 무급유 부시 외경을 압입하여 고정 부품과 접합합니다.

축 방향 고정 방법

플랜지를 이용한 축 방향 고정에서는 축 외형 치수(ΦD2)와 플랜지 외경 치수(ΦD1)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그림2의 왼쪽 그림과 같이 회전축 외경이 플랜지 외경보다 작은 경우, 마모로 인해 플랜지의 축 방향 치수가 줄어들고 플랜지 표면에 단차가 생기는데, 이는 축의 축 방향 이동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회전축 외경을 플랜지 외경보다 크게 만들어 플랜지가 축 방향으로 균일하게 마찰하고 마모되는 구조를 권장합니다.

g0069 02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의 장점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는 다양한 고정 방법과 구조로 인해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플랜지를 통해 축 방향과 회전 운동을 동시에 구속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의 단점

플랜지 타입의 단점으로는 축 외경과 플랜지 외경의 정밀한 설계와 제작이 필요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제작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으며,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랜지의 마모에 따른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사용 사례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는 자동차, 항공기, 산업 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특히, 회전축과 축 방향의 구속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의 회전축이나 항공기의 기어박스와 같은 고정밀 기계 부품에 사용됩니다.

결론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는 다양한 고정 방법과 구조를 통해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축 방향과 회전 운동을 동시에 구속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정밀한 설계와 제작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고정 방법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플랜지 타입 무급유 부시는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출처: 한국 미스미


기계요소 다른 글

기계요소 – 스프링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 나사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 동력전달요소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66) – 무급유 부시의 기초 이해: 개념과 역사

기계요소 (67) – 직동 기구 부품의 차이와 무급유 부시의 역할

기계요소 (68) – 무급유 부시의 사용 분야와 사용 기기

기계요소 (69) – 무급유 부시 하우징의 구조와 메인터넌스

기계요소 (70) – 무급유 부시의 트러블 사례

기계요소 (71) – 무급유 부시의 유지보수

기계요소 (72) – 무급유 부시의 조립 방법 및 모멘트 하중 대응 방안

기계요소 (73) – 무급유 부시의 틈새 실현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4) – 무급유 부시와 축의 구조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5) – 무급유 부시를 사용한 기구의 구조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6) – 무급유 부시의 사용 수명과 마모 예측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77) – 무급유 부시의 효과적인 활용법 (무급유 부시 사용 예)

기계요소 (78) – 무급유 부시의 사용 기기 (무급유 부시 사용 예)

기계요소 (79) – 무급유 부시의 선정 방법 (무급유 부시의 선정과 하중 계산)

기계요소 (80) – 무급유 부시와 축 사이의 최적 틈새 유지 방법

기계요소 (81) – 윤활 구조 (무급유 부시의 종류)

기계요소 (82) – 금속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장점과 단점

기계요소 (83) – 복층계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 마찰 저감 방법

기계요소 (84) – 수지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선택 방법

기계요소 (85) – 스트레이트 타입 무급유 부시의 종류와 특징: 효율적인 고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