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요소 (65) – 다양한 메카로크를 활용한 모터 축과 스프로킷의 체결 방법

다양한 메카로크를 활용한 모터 축과 스프로킷의 체결 방법

마찰 체결식 메카로크에는 이전에 소개한 테이퍼 슬리브 형상 외에도 싱글 콘 형상과 더블 콘 형상이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각 형상의 구조와 특징을 설명합니다.

(1) 싱글 콘 형상 메카로크 (MLM, MLMP, MLHS)의 구조와 특징

싱글 콘 형상 메카로크는 테이퍼 형상 이너 링을 가진 가압 플랜지를 로크 볼트로 체결하여 작동합니다. 로크 볼트의 체결 너트가 가공된 테이퍼 형상 아우터 링에 여러 개의 로크 볼트를 체결하여, 각각의 이너 링과 아우터 링이 외경 및 내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직력을 발생시킵니다. (【사진1】, 【그림1】 참조)

이 수직 방향의 작용력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모터 축과 스프로킷을 체결합니다. 장착 공간이 작으면서도 큰 체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캠, 기어, 풀리 등 다양한 회전 전동 요소의 체결에 널리 사용됩니다.

image 28

(2) 더블 콘 형상 메카로크 (MLA, MLAP)의 구조와 특징

더블 콘 형상 메카로크는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테이퍼 링을 세트 볼트로 체결하여 작동합니다. 이 테이퍼 링 형상과 대칭 테이퍼 형상을 가진 각각의 아우터 링과 이너 링이 외경 방향과 내경 방향으로 눌리는 상태가 되어 내경 측의 축과 외경 측의 체결체(스프로킷 등)를 동시에 마찰력으로 체결할 수 있습니다. (【사진2】, 【그림2】 참조)

더블 콘 형상은 큰 전달 토크용으로 적합하며, 플라이 휠, 풀리, 컨베이어 벨트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image 29

결론

싱글 콘 형상과 더블 콘 형상의 메카로크는 각각의 구조와 특징에 따라 다양한 회전 전동 요소의 체결에 사용됩니다. 싱글 콘 형상은 장착 공간이 작으면서도 큰 체결력을 제공하고, 더블 콘 형상은 큰 전달 토크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각 응용 분야에 맞는 메카로크를 선택하여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 미스미


기계요소 다른 글

기계요소 – 스프링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 나사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34) – 톱 체인의 선정 방법

기계요소 (35) – 1축 액추에이터 선정 방법

기계요소 (36) – 캠 팔로어와 롤러 팔로어: 구조적 기능성 및 적용 분야

기계요소 (37) – 커플링의 기초 지식과 그 응용: 기계 구성 부품의 이해

기계요소 (38) – 배속 체인의 선정 방법

기계요소 (39) – 배력 기구의 이해 및 응용

기계요소 (40) – 토글 클램프 기구

기계요소 (41) – 배력 기구 사용 예 및 이론적 배경

기계요소 (42) – 타이밍 벨트 참고 정보: 조기 파손 요인과 그 대책

기계요소 (43) – 타이밍 벨트의 마모 상태 기준

기계요소 (44) – 반송 타이밍 벨트의 선정 방법

기계요소 (45) – 볼 나사의 역사와 발전

기계요소 (46) – 볼 나사의 특징과 장단점 분석

기계요소 (47) – 볼 나사 구조 및 작동 원리

기계요소 (48) – 볼 나사의 강구 순환 방식과 그 특징

기계요소 (49) – 볼 나사의 예압 측정과 관리

기계요소 (50) – 볼 나사의 운전 성능 평가

기계요소 (51) – 볼 나사의 고속화와 그 과제들

기계요소 (52) – 볼 나사의 정음화 기술

기계요소 (53) – 볼 나사의 수명 예측과 유지 관리

기계요소 (54) – 볼 나사의 수명 사례 분석

기계요소 (55) – 볼 나사의 제조 방법

기계요소 (56) – V 가이드 시스템

기계요소 (57) – 스테핑 모터(step motor): 작동 원리와 제어 방법

기계요소 (58) – 서보 모터의 작동 원리와 특성

기계요소 (59) – 모터의 구분 사용-1

기계요소 (60) – 모터의 구분 사용-2

기계요소 (61) – 커플링을 통한 모터 축과 볼 나사 연결

기계요소 (62) – 볼 나사(볼 스크류)의 효과적인 지지 방법

기계요소 (63) – 스테핑 모터의 고정밀도화 방법

기계요소 (64) – 효과적인 모터 축과 스프로킷 체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