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요소 (56) – V 가이드 시스템

V 가이드 시스템 – mm 사이즈 70° 타입

기능과 특징

  • 구조: 베어링과 V홈(70°)이 일체화된 구조입니다.
  • 장착: 전용 양날 레일은 받침대가 있어 플레이트에 직접 장착할 수 있습니다.
  • 사이즈: mm 단위로 전개됩니다.

사용 예 기본 구성

image 11

하중 및 수명 계산 예

사용 형식

  • : MVH25
  • 레일: MVR25

사용 조건

중심으로부터 50mm 오프셋 위치에 30N의 하중을 운반하는 경우입니다.

image 12

\( L1 = 30N \)

\( M3 = 30N \times 0.05m = 1.5Nm \)

\( L2 = M1 = M2 = 0 \)

\( LF = \frac{300}{400} + \frac{0}{400} + \frac{0}{200 \times Y} + \frac{0}{200 \times Y} + \frac{1.5}{4.5} = 0.408 \)

주행 수명:

\( 주행수명 = \frac{70}{0.408^2} = 420km \)

수명 계산

최대 허용 하중은 4개의 휠(고정 휠 2개, 조정 휠 2개)을 사용하여 각 휠이 동일하게 부하를 받도록 합니다.

최대 허용 하중 및 모멘트

유형No.최대 허용 하중(N)최대 허용 모멘트(N・m)
L1L2M1M2
MVH / MVHL (스틸)129090
25400400
34800800
MVHS / MVHSL (스테인리스)128080
25320320
34640640

시스템의 수명을 계산하려면 아래의 계산식에 따라 하중 요소 LF를 구해야 합니다. M1 및 M2 모멘트를 고려하는 경우는 표 안의 값에 휠 간격 Y(m)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image 13

시스템 조립 및 조정 방법

  1. 부품 내장: 최소 하중으로 부품을 느슨하게 내장합니다.
  2. 고정 휠 체결: 고정 휠을 완전히 체결합니다.
  3. 조정용 휠 임시 체결: 조정용 휠의 장착 너트를 조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임시 체결합니다.
  4. 프리로드 조정:
    • 렌치로 조정용 휠 중앙부에 있는 육각 너트를 서서히 회전시켜 마주보는 휠 사이에 여유를 두지 않고 최소의 프리로드가 가해지도록 조정합니다.
  5. 프리로드 확인:
    • 레일을 고정시키고 캐리지 플레이트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휠을 손가락으로 회전시켜 적정한 프리로드가 가해졌는지 확인합니다. 약간의 저항은 느껴지나 휠이 문제 없이 회전할 정도가 적정량입니다. 필요 이상의 프리로드는 수명 감소의 원인이 됩니다.
  6. 최종 체결: 조정용 휠을 모두 조정하고 테스트한 후 휠 상부의 체결 너트를 권장 토크 값까지 완전히 체결합니다.
  7. 최종 확인: 조정 완료 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정한 프리로드가 가해졌는지 다시 확인합니다.

결론

V 가이드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서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계 요소입니다. 베어링과 V홈의 일체화된 구조로 인해 높은 하중을 견디고, 정밀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정확한 수명 계산과 조립 방법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 미스미


기계요소 다른 글

기계요소 – 스프링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 나사에 관한 포스팅 모음

기계요소 (34) – 톱 체인의 선정 방법

기계요소 (35) – 1축 액추에이터 선정 방법

기계요소 (36) – 캠 팔로어와 롤러 팔로어: 구조적 기능성 및 적용 분야

기계요소 (37) – 커플링의 기초 지식과 그 응용: 기계 구성 부품의 이해

기계요소 (38) – 배속 체인의 선정 방법

기계요소 (39) – 배력 기구의 이해 및 응용

기계요소 (40) – 토글 클램프 기구

기계요소 (41) – 배력 기구 사용 예 및 이론적 배경

기계요소 (42) – 타이밍 벨트 참고 정보: 조기 파손 요인과 그 대책

기계요소 (43) – 타이밍 벨트의 마모 상태 기준

기계요소 (44) – 반송 타이밍 벨트의 선정 방법

기계요소 (45) – 볼 나사의 역사와 발전

기계요소 (46) – 볼 나사의 특징과 장단점 분석

기계요소 (47) – 볼 나사 구조 및 작동 원리

기계요소 (48) – 볼 나사의 강구 순환 방식과 그 특징

기계요소 (49) – 볼 나사의 예압 측정과 관리

기계요소 (50) – 볼 나사의 운전 성능 평가

기계요소 (51) – 볼 나사의 고속화와 그 과제들

기계요소 (52) – 볼 나사의 정음화 기술

기계요소 (53) – 볼 나사의 수명 예측과 유지 관리

기계요소 (54) – 볼 나사의 수명 사례 분석

기계요소 (55) – 볼 나사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