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요소 (24) – 스프링 설계의 계산식

스프링 설계의 계산식

LCA(Low Cost Automation)에서 스프링 설계 대상은 대부분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인장 코일 스프링입니다. 이 두 종류의 스프링 설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검토 과제입니다. 여기서는 그 중 a), b), c)에 대해 해설합니다.

  1. 사용 범위에서의 변형량과 이때의 스프링 하중: 스프링 정수
  2. 스프링을 설치하는 장소의 공간: 길이와 외형
  3. 스프링 고정 방법: 스프링의 양끝 형상과 고정 방법
  4. 기타: 스프링 변형(영구 변형), 피로

(1) 스프링 정수와 스프링 형상 치수의 관계식

스프링의 변형량과 이때의 스프링 하중 사이의 관계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과 변형의 관계“에서 해설한 “훅의 법칙”으로 표현됩니다:

\( P = k \cdot \delta \)

여기서:

  • P: 스프링 하중
  • k: 스프링 정수
  • δ: 스프링의 변형량

“스프링 정수 k“는 스프링 재료 특성과 스프링 형상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됩니다. 이 식은 압축 코일 스프링과 인장 코일 스프링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k = P/ \delta = G \times d^{4} / 8 \times n \times D^{3} \)

여기서:

  • G: 횡탄성 계수(영율)
  • d: 선경
  • n: 유효 감은 수
  • D: 평균 코일 직경

이 식을 변형하여 평균 코일 직경 D, 선경 d, 스프링 정수 k 등을 임의로 설정하여 유효 감은 수 n을 산출하거나, 이미 알려진 P, D, d, n 값을 통해 변형량 δ를 구할 수 있습니다.

(2) 스프링 길이, 외형 설계

스프링 길이는 “허용 변형량”과 스프링 하중의 관계에서 선정 및 설계합니다. “허용 변형량”은 스프링이 늘어나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직전까지의 한계 변형량을 의미합니다 【그림1】 참조.

image 24

스프링 고정 방법

스프링 고정 방법은 스프링의 거동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합니다. 압축 코일 스프링과 인장 코일 스프링의 고정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려면, 이전에 다루었던 “스프링의 고정 방법“을 참조하십시오.

출처: 한국 미스미


기계요소 다른 글

기계요소 (1) – 관용테이퍼나사(PT), 관용평행나사(PS,PF)

기계요소 (2) – 나사의 종류와 나사산의 형상

기계요소 (3) – 나사의 파괴와 강도 계산

기계요소 (4) – 나사의 역할

기계요소 (5) – 스프링

기계요소 (6) – 정하중 스프링

기계요소 (7) – 스프링의 계산

기계요소 (8) – 핀

기계요소 (9) – 자동조심볼베어링

기계요소 (10) – 가스 스프링

기계요소 (11) – 물림률의 정의와 계산

기계요소 (12) – 전조법을 이용한 나사 제작

기계요소 (13) – 나사 제작용 금속 재료의 종류와 특성

기계요소 (14) – 스프링의 형상별 분류

기계요소 (15) – 압축 코일 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과 변형의 관계

기계요소 (16) – 인장 코일 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과 변형의 관계

기계요소 (17) – 스프링에 흡수 축적되는 에너지

기계요소 (18) – 스프링의 고유 진동 특성

기계요소 (19) – 마이크로 프로브용 스프링의 첨단 기술

기계요소 (20) – 스프링의 서징 현상

기계요소 (21) – 스프링 특성 모음

기계요소 (22) – 스프링의 고정 방법

기계요소 (23) – 스프링용 재료